관절염 환자 47% 우울증에 시달려 관절 질환자의 절반 가량이 우울증을 앓는 등 심각한 심리적 질환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7일 밝혔다. 관절염연구소가 관절 질환으로 수술받은 60세 이상 노인환자 499명을 조사한 결과 56.7%(283명)가 관절염 발병 이후 통증과 거동제한 때문에 매사에 신경질적 변화가 생긴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13.4%(67명)는 사람 만나는 일에 매우 소극적이었으며, 우울증 증세까지 보였다고 병원 측은 덧붙였다. 이 같은 특징은 연구소가 CHA의과학대 정신과학교실 성형모 교수팀에 의뢰해 관절염 환자 320명의 심리상태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비슷했다. 환자 2명 중 1명꼴인 47%(150명)가 이미 우울증을 앓는 것으로 진단됐으며, 짜증과 신경질을 동반한 가벼운 수준의 우울증이 22.2%(71명), 중간 .. 더보기 장마철 관절염 운동법 관절염 환자들은 '걸어 다니는 기상 예보관'이란 우스갯소리가 있다. 비가 본격적으로 내리지 않고 오락가락할 때부터 벌써 온 몸의 뼈마디가 쿡쿡 쑤신다고 호소하는 환자들이 적지 않다. 장마전선에 의한 높은 습도가 통증을 악화시키기 때문이다. 흐린 날씨로 기압이 낮아지면 관절 내 압력은 상대적으로 올라가게 되고, 이로 인해 관절 내 활액막(관절의 뼈끝을 싸서 연결하는 막)에 분포된 신경이 자극을 받아 통증을 심화시킨다. 장마철에는 기온도 낮아지는데, 이렇게 기온이 낮아지면 관절이 뻣뻣하게 굳는 경직 현상이 심해진다. 뼈와 뼈 사이 마찰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는 활액(관절액)이 굳어 제 기능을 못하기 때문이다. 관절염 환자들은 장마철에 통증이 심해지면 밤잠을 못 이루는 경우도 늘어난다. 잠을 설치면 통증 억제 .. 더보기 무릎관절에 리프리놀 녹색 입술 조개에서 추출한 화합물의 상품명. 5-6가지 이상의 오메가-3 불포화 지방산과 카로티노이드 등으로 구성된 복합물질이다. 다른 항산화제보다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며, 염증의 매개 인자인 류코트리엔의 생성을 억제하여 각종 염증성 질환에 효과적이다. 리프리놀은 5-6가지 이상의 오메가3 불포화지방산과 카로티노이드(beta-carotenoid)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주요 지방산은 ETA(eicosatrienoic acid)로서 인체 내에서 ETA에서 EPA(eicosapentaenoic acid)로 전환되며, EPA는 세포막의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이 리폭시지나아제(lipoxygenase)에 의해 류코트리엔(leukotriene)으로 대사되는 것을 억제하여 관절염 증상을 .. 더보기 이전 1 ··· 35 36 37 38 39 40 41 ··· 1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