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은 체중을 전적으로 지탱하는 부위다. 자연히 무리가 가기 쉽다. 더구나 무릎은 다른 관절에 비해 손상을 받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발목 관절이나 엉치뼈의 경우 동그란 소켓 안에 공이 들어가서 움직이는 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안정적이다.
이와 달리 무릎 관절은 평평한 접시 모양의 종아리뼈에 동그란 허벅지뼈가 얹혀 있는 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인대나 근육이 받침대 역할을 해주지 않으면 탈골되기 쉬운 구조다. 뼈가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무릎 바깥쪽과 안쪽에 인대 2개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막아주고, 무릎 안쪽으로 전방 십자인대와 후방 십자인대가 엇갈려 위치함으로써 무릎관절이 앞뒤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네 개의 인대가 사방에서 무릎을 보호하고 있지만 여기서 그치는 것이 아니다. 허벅지뼈와 종아리뼈 사이에는 초승달 모양을 한 두 개의 연골판이 무릎 바깥쪽과 안쪽에 위치해 있다. 이 연골판은 두 뼈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고 관절 안의 영양분을 고루 분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렇듯 사방팔방에서 무릎뼈를 호위하고 있지만 예기치 못한 외부 충격 앞에선 무릎을 꿇을 수밖에 없다. 대표적인 무릎손상에는 연골판 손상과 인대 파열이 있다.
우선 무릎을 갑자기 펴거나 운동 중 충격을 받으면 연골판이 찢어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움직일 때마다 통증이 생기고 웅크려 앉거나 무릎의 방향을 트는 것이 어려워진다. 특히 나이든 사람은 노화로 인해 연골판에 탄력이 없어지기 때문에 쪼그려 앉거나 산에서 급하게 내려오는 경우 혹은 다리가 약간 틀어진 경우에도 연골판이 쉽게 파열된다. 구조상 바깥쪽보다 안쪽의 연골판이 더 잘 찢어진다.
연골판이 손상을 입으면 무릎이 쑤시고 심한 통증을 동반한다. 특히 오리걸음을 하듯이 쪼그려 앉으면 위쪽의 허벅지뼈가 찢어진 부분을 짓누르기 때문에 통증이 심해진다. 이때는 통증이 잠잠해질 때까지 기다렸다가 무릎을 옆으로 살살 돌리면서 펴면 잘 펴진다.
심하게 다치지 않았을 경우엔 별다른 통증을 느끼지 못할 수도 있다. 하지만 통증이 없다고 안심해선 안 된다. 연골판은 가장자리 3분의 1 정도를 제외하면 피가 통하지 않기 때문에 약물치료나 물리치료로 재생되지 않는다. 수술을 하지 않으면 무릎뼈의 연골을 손상시켜 관절염으로 진행될 위험이 있다. 또 손상 후 시간이 지나면 근력과 근육량이 줄어들어 다리가 가늘어진다.
나이든 사람에게서 연골판 손상이 잘 나타나는 데 비해 격렬한 운동을 즐기는 젊은 사람은 인대를 다치기 쉽다. 그 중에서도 특히 전방십자인대 손상이 가장 많다. 국내 경기 도중 무릎을 다쳐 월드컵 출전의 꿈을 접어야 했던 이동국 선수도 전방십자인대가 찢어진 경우다. 인대가 파열되면 대개 본인이 끊어졌다는 것을 스스로 느낄 수 있다. 전방십자인대는 무릎이 앞뒤로 흔들리지 않도록 지탱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대가 파열되면 종아리뼈를 앞뒤로 당기거나 밀었을 때 뼈가 어긋나는 등 관절이 불안정해진다.
< 청정뉴질랜드 관절건강식품 둘러보기 >
'뉴질랜드 건강식품 정보 > 골다공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다공증 환자의 60%, 골절후에도 병명 몰라 (0) | 2010.02.04 |
---|---|
골다공증엔 예방이 명약 (0) | 2010.02.04 |
복부비만 심할수록 골다공증 주의 (0) | 2010.02.03 |
골다공증 예방 - 칼슘이 최고 (0) | 2009.11.27 |
골다공증 예방 - 칼슘이 최고 (0) | 2009.11.27 |